흔히, '꿈보다 해몽'이라는 말을 쓴다. 즉, 꿈 자체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지 몰라도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어떤 꿈은 길몽이나 흉몽으로 의미를 지닐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일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꿈이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런 꿈은 이런 의미다'라는 식의 해몽은 사주팔자나 혈액형을 가지고 체질이나 성격, 심지어 운명을 논하는 것만큼 객관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뇌과학은 최근에 매우 발전했다.
뇌 영상 기기 덕분에 수면의 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다.
렘수면은 뇌의 시각, 운동, 감정, 저전적 기억 영역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나는 반면, 합리적 사고를 맡은 영역들은 상대적으로 활성을 잃은 상태이다.
꿈의 의미와 내용
과학자들은 뇌 스캐닝으로 꿈꾸는 사람의 뇌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이트 이전에 꿈은 다른 차원에서 오는 것으로 이해했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꿈이 높은 곳에 있는 신들로부터 내려온다고 믿었다.
고대 그리스인들도 꿈은 신이 내리는 계시, 신성한 정보로 이해했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는 꿈이 최근에 깨어 있을 때에 겪은 사건들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꿈이 뇌의 신경작용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했다.
프로이트는 꿈꾸는 사람과 그 잠을 보호하기 위해, 마음속에 검열자 혹은 여과기가 있다고 믿었다.
(꿈에 관한 다른 관점은 다른 게시물에서 다루기로 한다.)
야간 요법으로서의 꿈
꿈은 그저 렘수면의 부수적인 현상이라는 견해가 있다.
인간의 뇌가 진화 과정에서 렘수면을 생성하면서, 우리가 꿈이라고 부르는 것도 생겨난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꿈이 아무런 의미가 없고, 쓸모없으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꿈은 두가지 기능이 있다.
첫번째 기능 - 우리의 정서적 및 정신적 간강을 함양하는 일과 관련있다. 두번째 기능 -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이다.
꿈꾸기 - 진정제
시간이 모든 상처를 치유한다는 말이 있는데, 혹시 꿈꾸는 잠을 보내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까?
렘수면 꿈이 일종의 야간 요법을 제공한다. 낮 동안 겪었던 힘든, 심지어 정신적 외상까지 일으킬 수 있는 감정적 사건들에서 고통을 제거하여, 다음 날 아침에 감정을 해소한 상태로 깨어날 수 있게 해준다.
렘수면일때, 하루 24시간 중에서 노르아드레날린이 유일하게 사라지는 순간이다. 노르에피네프린이라고도 불리는 노르아드레날린은 아드레날린에 상응하는 뇌 화학물질이다.
연구자들은 렘수면 때, 뇌에서 감정 및 기억과 관련된 주요 구조들이 모두 재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즉 감정 관련된 피질 영역들, 편도체, 핵심 기억 중추인 해마 등이 스트레스 화학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재활성화된다. 한마디로 신경화학적으로 안전한 상태에서 꿈을 꾸는 것은 감정을 자극하는 기억 경험을 재처리는 하는 것이 아닐까? 즉 렘수면 꿈꾸는 상태가 완벽하게 고안된 야간 진정제는 아닐까?
꿈의 야간 요법 이론 1. 기존 지식과 통합하고 자전적 관점에서 끼워 맞춤으로써 가치 있고 특출한 경험들의 세부 사항들을 기억하기 위해서 잠을 잔다. 2. 앞서 그 기억들을 감싸고 있던 속을 뒤집어 놓은 고통스러운 감정들을 잊거나 해소하기 위해 잠을 잔다.
모든 상처를 치유하는 것은
시간 자체가 아니라,
정서적 요양을 제공하는
꿈꾸는 잠을 자는 시간이다.
잠을 자라, 그리하면 치유될 것이다.
감정적 상처를 치유하려면,
분명한 잠 특히 렘수면이 필요하다.
깨어 있을 때의 경험을 해독하는 꿈
다른 사람의 얼굴 표정과 감정을 정확히 읽는 능력은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하다.
얼굴 표정은 우리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신호 중 하나이다.
얼굴 표정은 개인의 감정 상태와 의도를 드러내며, 제대로 해석한다면 그에 반응하는 상대방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 뇌에는 감정 신호, 특히 얼굴에서 보이는 신호의 가치와 의미를 읽고, 해독하는 일을 맡은 영역들이 있다. 이곳은 렘수면이 밤에 재조정하는 영역이다. 밤에 완벽하게 조율되면,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날 때면 미묘하게 감추는 미세한 표정까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렘수면 꿈을 빼앗기면, 뇌의 감정 조율 곡선이 예리하게 정확하게 맞춰지지 못한다.
충분하게 잠을 자야만, 우리는 상대방의 표정을 제대로 읽을 수 있다.
꿈 창의성과 꿈 제어
렘수면은 창의성을 자극하고 문제 해결을 촉진한다.
깊은 비렘수면은 개별 기억을 강화한다. 반면 렘수면은 이 기억들을 뒤섞고 융합하여 탁월하게 상승 효과를 일으킨다.
우리 뇌는 엄청난 양의 습득한 지식을 살펴 본 다음, 가장 중요한 규칙과 공통점 즉 핵심을 추출한다.
우리는 이전까지 난공불락이었던 문제 해결책을 탐사할 수 있는 MWW ( Mind Wide Web마음 와이드 웹)을 지닌 채 깨어난다.
렘수면 꿈은 정보 연금술이다.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도약 중에는 착상감각(ideasthesia) 즉 꿈꾸는 과정을 통해 아온 것들도 있다. 드미트리 멘델레예프(Dmitri Mendeleev)가 1869년 2월 17일 꾼 꿈 - 그 꿈으로부터 원소들의 주기율표가 나왔다.
멘델레예프는 ~거의 미친듯이 이 일에 매달렸다. 각 원소와 그 독특한 화학적, 물리적 속성을 적은 카드를 한 벌 만들어, 연구실이든 집이든 기차 안에서든, 자리에 앉기만 하면 미친듯이 카드를 섞어서 탁자 위에 한 장씩 펼치면서 이 우주적인 조각 그림 퍼즐이 어떻게 끼워 맞춰질지를 설명하는 규칙 중의 규칙을 추론해내려고 애썼다. ~~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면서 ~~ 한번은 사흘 밤낮을 잠도 안자고 고심했지만, 해결하지 못하고 ~~ 생각하고 생각하다가 잠이 들었다. 잠자는 동안에 꿈을 꾸었고, 꿈꾸는 뇌는 깨어 있는 뇌가 할 수 없었던 성취를 이루었다.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은 정보들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확장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런 기억의 조리개 넓히기는 망원경을 거꾸로 대고 보는 것과 비슷하다. 깨어 있을 때, 우리는 탈바꿈하는 수준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망원경을 거꾸로 들여다 보고 있다.
대뇌에 제시되는 정보 우주 전체를 포착할 수 없는 근시안적이고 초점을 지나차게 좁힌 협소한 관점을 취한다. 깨어 있을 때 우리는 기억 상호 관계중 협소한 한 부분집합만 본다.
그러나 꿈꾸는 상태에 들어가서, 기억 탐사 망원경의 다른쪽(올바른 쪽)을 들여바 보기 시작하면 정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꿈의 광각 렌즈를 씀으로써, 우리는 저장된 정보의 전 영역을 훑으면서 가능한 온갖 조합을 시도할 수 있다. 그 모든 것들이 창의성에 기여한다.
꿈의 용광로에서 이루어지는 기억 융합
첫째, 렘수면 꿈꾸는 단계에 들었다가 깨어난 뇌에 한 문제의 각 구성 요소들을 입력하면, 같은 기간을 깬 상태로 보낸 뇌에 비해 새로운 연결과 문제 해결책이 더 잘 출현할 것이다. 둘째, 단순히 렘수면에 드는 차원을 넘어서 꿈의 내용이 고도로 연상을 요구하는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 가설이 옳다면, 렘수면이 필요충분 조건이 아니라는 뜻이다.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성공하려면, 꿈꾸는 행위와 그 꿈에서 연상된 내용 둘 다 필요하다.)
암호 해독과 문제 해결
렘수면 꿈은 단순히 창의적인 방식으로 정보들을 융합하는 차원을 넘어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다.
렘수면은 정보 집합으로부터 추상적인 일반 지식과 상위 개념을 창안할 수 있다.
<자고 나서 생각해>
기능은 형태를 따른다 - 꿈의 내용이 중요하다
밤에 풀기 어려운 문제는 잠의 위원회가 그 문제에 매달린 뒤인 아침에는 해결된다. - 존 스타인백-